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후동행카드 신청 및 충전방법(+후불카드, 모바일 발급, 판매처)

by 똑똑한 정보창고 2025. 1. 28.

기후동행카드는 선택한 기간 동안 서울의 대중교통과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통합 정기권입니다. 이 카드는 지하철, 버스, 따릉이 등 다양한 교통수단하나의 카드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신청, 충전방법, 모바일 발급, 판매처 안내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기후동행카드는 모바일카드와 실물카드 두 가지 형태로 제공됩니다.

  • 모바일카드: '모바일티머니' 앱을 다운로드하여 회원가입 후, 기후동행카드를 발급받고 충전할 수 있습니다. 결제는 계좌이체나 본인 명의의 신용·체크카드로 가능합니다.
  • 실물카드: 서울교통공사 1~8호선 고객안전실 또는 역사 인근 편의점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구매 후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 카드를 등록한 뒤, 역사 내 무인 충전기에서 충전할 수 있습니다. 결제는 현금 또는 신용·체크카드로 가능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사용방법 

 

기후동행카드는 다음과 같은 교통수단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지하철: 서울 지역 지하철 전 노선과 김포골드라인, 진접선, 별내선, 고양시 및 과천시 구간이 포함됩니다. 단, 신분당선과 서울 외 지역 지하철은 제외됩니다.
  • 버스: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에서 사용 가능하며, 서울 지역 외에서 승하차하더라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따릉이: '티머니GO' 앱에서 기후동행카드 번호를 등록하면 사용 기간 내 따릉이 2시간 이용권이 제공됩니다.

 

기후동행카드 권종 안내

 

기후동행카드는 30일권 및 단기권을 선택해서 사용 가능합니다.

 

기후동행카드 권종

 

기후동행카드 서비스 구간

기후동행카드 서비스 범위 안내

 

 

기후동행카드 제외구역 안내

 

 

▶▶ 기후동행카드 사용가능 교통수단 검색 ◀◀

 

휴대전화 기종에 따른 기후동행카드 선택 방법

휴대전화 기종에 따른 사용방법

모바일 카드는 모든 휴대전화 기종에서 사용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전화에서만 모바일 카드가 사용 가능하오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카드종류를 확인하세요.

 

기후동행카드 충전 방법

충전방법

  • 모바일카드: '모바일티머니' 앱에서 직접 충전할 수 있습니다.
  • 실물카드: 역사 내 무인 충전기에서 충전이 가능하며, 충전 시 사용 개시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카드 충전방법

 

1) 모비일티머니 앱 다운로드

2) 회원가입

3) 기후동행카드 발급 및 충전

실물카드 충전방법

1) 오프라인 구매처에서 실물카드 구매

2) 티머니 카드& 페이 홈페이지에서 카드 등록

3) 역사 내 무인충전기에서 실물카드 충전

충전시 주의사항

 

 

기후동행카드 판매처

실물카드 판매처 안내

  • 서울교통공사 1~8호선 고객안전실에서 구매 가능
  •  역사 인근 GS25, 이마트24,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에서 구매 가능(편의점 App에서 재고 조회 가능)

▶▶ 내 주변 실물카드 판매처 검색하기 ◀◀

 

 

청년할인 대상 할인 혜택

지원 대상

- 만 19~39세

- 25년도부터 의무복무 제대군인에게 기후동행카드 청년할인을 최대 3년 연장하여 만 42세까지 혜택 제공(더보기)

신청방법

1) 모바일/ 실물카드 발급

2) 모바일 티머니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연령 인증 및 카드 등록

3) 금액 충전

4) 30일간 할인금액으로 무제한 대중교통 이용

  * 6개월마다 연령인증 필수

 

후불형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2024년 11월 30일부터 후불형 기후동행카드가 도입되었습니다. 이 카드는 신용·체크카드와 연계되어 별도의 충전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 내역은 월말에 청구됩니다. 후불형 카드는 기존의 무제한 대중교통 이용 혜택과 함께 청년 할인, 단기권, 다양한 문화 할인 혜택 등을 제공합니다.

 

기후동행카드는 친환경 교통수단의 이용을 촉진하여 탄소 배출을 줄이고, 시민들에게 경제적인 교통 이용을 제공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기후동행카드를 통해 더욱 편리하고 친환경적인 교통 생활을 누려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